검색 좀 하시는 분들에게 소개합니다

[su_box title=”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 style=”soft” box_color=”#f70000″ radius=”5″]’학술정보 검색’에 대한 가천대학교 최문정 사서선생님의 원고를 연재합니다. 학술정보 검색은 일반 검색과 어떻게 다른지, 검색하기 전에 숙지해야 할 정보는 무엇인지, 어떤 방법으로 검색을 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검색결과를 좀더 똑똑하게 활용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학술검색의 심화버전까지 총 5회에 결쳐 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을 다룹니다. 최문정 사서선생님은 가천대학교에서 대학생과 대학원생에게 학술정보 이용교육을 담당했으며, 연재되는 원고는 이용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서술되었습니다.
1탄: 일반검색은 구글링, 학술정보는 딥파잉! 바로가기>>
2탄: 학술정보를 검색하기 전에 이것만을 알아두세요! 바로가기>>
3탄: 무턱대고 키워드 타이핑은 그만! 바로가기>>
4탄: ‘검색결과 보기’가 끝이 아니다? 바로가기>>
5탄: 검색 좀 하시는 분들에게 소개합니다. 바로가기>>[/su_box]

상세검색: 검색 좀 하시는 분이라면
‘상세검색’은 ‘논문명’, ‘간행물명’, ‘발행기관’, ‘저자’, ‘키워드명’, ‘목차+초록’, ‘본문’ 등 두 개 이상 항목에 검색어를 ‘AND’, ‘OR’, ‘AND NOT’으로 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제분류, 언어, 발행연도 등으로 검색 결과의 제한까지 가능한 기능입니다. 이는 연구자가 요구하는 조건에 적합한 소수 자료를 출력하고자 할 때 유용하며, 단순검색으로 출력된 결과물을 ‘결과 내 재검색’, ‘정렬’, ‘검색결과 좁혀보기’ 등의 방법으로 그 수를 축소하는 경우와 결과는 같습니다.
알림서비스: 원하는 자료가 없으시다고요?
‘알림 서비스’란 DBpia에 연구자가 원하는 항목의 자료가 업데이트되었거나 변동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으로, 개인 회원으로 가입하면 알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DBpia에서 알림 서비스는 연구자가 원하는 발행기관, 전자저널 권/호, 검색결과, 저자, 논문 이용 알림, 키워드별 논문, 주제별 신규 간행물, 개인 추천 알림 서비스 등이 있으며, 특히 논문을 작성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는 검색결과 알림 서비스가 매우 유용합니다. 연구자가 입력한 검색어 또는 검색식에 해당하는 최신 자료가 DBpia에 등록될 때마다 회원가입 시 등록한 메일로 알려주는 서비스는 논문을 작성하는 동안에도 최신 논문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합니다.
[su_box title=”DBpia Insight, 논문·저자·저널의 영향력을 데이터로 나타냅니다.” style=”soft” box_color=”#000000″ radius=”5″]
DBpia는 근래에 ‘DBpia Insight’를 오픈하고 국내 학술 Database로서 최초로 논문, 저자, 저널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DBpia는 연구자에게 본인 논문의 영향력은 물론 선행 연구를 다양한 지표로 비교·분석하여 선별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연구 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었으며, 각종 도서관에 DBpia를 활용한 연구지원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등 궁극적으로 국내 연구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다만, ‘DBpia Insight’는 DBpia에서 제공하는 논문, 저자, 저널에 한정하여 DBpia 이용자들의 실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한다는 제한점이 있습니다.
논문의 이용/인용 정보를 확인하세요!
‘DBpia Insight’에서 논문명으로 검색하면 해당 논문의 이용/인용지표(DBpia 이용수, DBpia 논문 활용도, 이용기관별 이용 수, DBpia 피인용 수)와 관련 학술자료(논문의 메타정보, 인용정보, 그리고 이용자의 논문 이용 패턴을 활용한 연관 추천 논문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연구자들에게는 DBpia 이용자들의 논문 이용 및 인용하는 추이를 기간별로 분석하고 연관 논문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연구 트렌드 분석에 상당히 유용합니다.
저자별 연구동향을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DBpia Insight’에서 저자명으로 검색하면 해당 저자의 저자명, 소속기관, 연구 분야, 논문 발행 기간, 이용수, 피인용 수 등의 항목이 출력됩니다. 이를 활용하면 동명이인의 저자가 많더라도 소속기관에 의하여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저자별 연구 동향 및 영향력 지수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저널의 영향력 지수를 확인하세요!
‘DBpia Insight’에서 저널명으로 검색하면 해당 저널의 저널명, 발행기관, DBpia 분류, 발행 기간, 이용수, Usage Factor, 피인용 수 항목이 출력되므로 저널의 영향력 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연구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저널 및 작성한 논문을 투고해야 하는 저널 등을 확인하는데 유용합니다. 특히 Usage Factor는 전자정보 이용통계 국제 표준인 COUNTER 기관의 COUNTER Code of Practice for Usage Factors 공식 기준에 근거한 저널의 이용지수로 저널에서 최근 2년간 발행된 논문들이 같은 기간 동안 이용된 수의 중앙값을 통해 산출합니다.[/su_bo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