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선거 전문가들은 한결같이 트럼프의 정치적 가능성에 대해 어림도 없다고 코웃음쳤었다. 그러나 지금 제 45대 미국 대통령에 당선된 트럼프의 행보는 그야말로 승승장구 그 자체이다. 언론과 선거전문가들의 모든 예측을 웃음거리로 만들어버린 트럼프가 보여준 일련의 이변을 가리켜 ‘트럼프 현상’이라고 지칭하기까지 한다. 그렇다면 트럼프는 어떻게 하여 지금의 지지와 인기를 얻게 되었을까? 강준만 전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미디어혁명’이 파괴한 ‘위선의 제도화’: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본 ‘트럼프 현상’」(『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9(2), 2016)에서 직거래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미디어 혁명’으로, 기존 미국 사회에 만연해 있는 ‘위선의 제도화’를 파괴함과 동시에, 대중의 지지와 인기를 얻게 된 일련의 과정을 하나씩 살펴보고 있다.
‘트럼프 현상’
: 트럼프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저자는 기존 트럼프에 대한 여러 시각들보다 다음과 같은 시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su_quote]트럼프에 대한 연구도 트럼프 개인이 혐오할 만한 행태보다는 그런 행태에도 불구하고 그가 지지와 인기를 누리는 이유에 에 초점을 맞춰야 하는 게 아닌가?(2쪽)[/su_quote]
트럼프가 성공한 이유는 무엇인가? 지금 이 시점에서 트럼프를 비판하기만 하는 것보다 미국 내의 정치적 냉소를 바탕으로 번성하게 된 ‘트럼프 현상’의 책임을 트럼프와 그 지지자들에만 물을 수는 없을 것이다. 저자는 이러한 문제 의식에서 ‘트럼프 현상’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 즉 의제 설정(agenda-setting)과 수사적 스타일(rhetorical style) 중심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가설을 내리고 있다.
[su_quote]‘트럼프 현상’의 근저에는 지난 40년간 미국을 지배한 ‘정치적 올바름’과 그에 따른 ‘위선의 제도화’, 그 토양 위에서 구축된 ‘플랫폼 정치’와 양극화에 대한 강한 문제의식, 그리고 이 문제의식을 행동으로 현실화시킬 수 있게 한 SNS를 중심으로 한 ‘미디어 혁명’이 있으며, 트럼프는 이 조건들을 이용하는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오늘의 위치에 오르게 됐다.(3쪽)[/su_quote]
트럼프와
‘정치적 올바름’
미국 내에서의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의 역사는 과잉의 연속이었다. PC 운동은 과격한 경향을 띠었다.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사람들은 ‘PC’에 진절머리를 낼 지경이었다. 이때 트럼프가 등장했다. 그는 ‘PC’에 대한 영향력 있는 공격수였다. 사람들이 감히 입밖에 내지 못하고 있다며, 자신이 그들의 대변인 노릇을 하겠다고 나섰다. 트럼프는 ‘PC’와는 정반대로 ‘있는 그대로의 세상을 말하는(telling it like it is)’ 것을 자신의 트레이드마크로 삼았고, 지지자들은 바로 그 점에 열광했다. 이전에 이러한 캐릭터가 없지는 않았지만, 트럼프는 적어도 이 부분에 있어서는 독보적인 인물이었다.
위선의 제도화
오랜 PC 운동으로 미국은 사회 전 부문에 개개의 규정으로 형식화될 수 있었고, 제도화될 수 있었다. 정치 영역에서도 ‘최소한의 PC’가 정치인들의 담론을 규제해 왔으며, 이는 법의 영역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이 과정과 결과를 위선의 제도화로 볼 수 있겠지만, 위선의 제도화가 순전히 PC 때문에 생긴 것은 아니다.
[su_quote]위선의 제도화는 사회 전 분야의 작동방식과 거버넌스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이러한 차원에서 “에델먼(Edelman, 1964)이 역설한 ‘정치의 상징적 이용(the symbolic uses of politics)’이야말로 정치가 담론의 세계에만 머무르는 위선의 제도화를 웅변해준 것으로 볼 수 있다.(8쪽)[/su_quote]
트럼프는 그러한 현실을 파고 들었다. 트럼프는 말만 앞세우는 기성 정치인들을 지목했다. 자신과 기성 정치인의 차이점은 자신은 행동을 하는 반면, 기성 정치인들은 행동에 관한 말만 하고, 자신과는 달리 진실을 듣고 싶어하지도 않으며 국민에게 진실을 말하지도 않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
트럼프는 “워싱턴 정치인들은 ‘해가 뜰겁니다. 달이 질 겁니다. 온갖 좋은 일이 있을 겁니다’라고 말하는데 국민은 그런 감언이설(甘言利說)은 필요 없다. 실천을 원하고, 일자리를 원한다”라고 강조하였다.
|
트럼프는 사석에서 소위 막말 논란이 많았으나, 그는 다른 정치인과는 달리 내뱉은 말을 철회하거나 사과하지 않았다. 막무가내로 밀어붙이기까지 한다. 지지자들에게는 이는 되려 ‘담대함’, ‘진정성(authenticity)’의 증거로 여겨지는 것이다. 우리는 어떠한가? 실제 어떤 공직자나 기업이 옳은 소리를 늘어놓다가 실제로 저지르는 언행불일치에는 상대적으로 침묵하는 반면, 실제로 차별적인 발언을 조금이라도 늘어놓거나 하면 분노한다.
[su_quote]부당한 차별이 광범위하게 저질러지고 있다는 걸 잘 알면서도 그걸 체념해 받아들이다가 어떡하다가 차별의 의도와 증거가 나타나야만 사회적 분노가 폭발하는 현 방식은 트럼프 현상을 다시 볼 것을 요구한다.(9쪽)[/su_quote]
‘플랫폼 정치’와
양극화
미국 내의 정치적 양극화(공화-민주의 당파주의)는 ‘두 개의 미국’, ‘제2의 남북전쟁’ 등의 말까지 나올 정도였고, 미국인 절대다수는 정치적 양극화를 심각하게 여기고 있다. 그러한 상황에서 트럼프는 미국 정치의 양극화를 강하게 비난하고 나섰다. 누가 트럼프에게 ‘분열주의 정치’를 한다고 비난할 수 있겠으며, 트럼프를 보고 정치적 양극화를 심화시킨 주범이라 할 수 있겠는가? 기성 정치가 곪아 있는 사회적 문제들에 적극 대응하지 않는 상황에서, 트럼프는 아주 고약한 방법으로 그런 현상을 까발리고 나섰고, 그래서 세상의 주목을 받은 건 물론 광범위한 지지까지 누리게 되었다.
트럼프의 지지층에는 특정 직업, 종교로 묶인 집단을 찾기 어렵다. 도시, 농촌, 지역, 민족 등 특정 계층을 기반으로 하지도 않는다. 한 마디로 대단히 개별적이고 파편화된 지지층을 가지고 있다. 이것이 기존 우익 포퓰리즘과 트럼프의 차이라 할 수 있는데, 동시에 이것이 트럼프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이 구사되는 배경이다.
트럼프의
전략적 커뮤니케이션
트럼프의 공약은 역대 공화당 후보, 공화당 출신 대통령들과 비교해봤을 때 대체로 중도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트럼프의 지지자들은 그가 가장 중요한 문제들을 정면으로, 정직하게 대처하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해 그의 막말을 비교적 사소한 문제로 간주했다. 그가 제시한 공약의 6대 이슈를 살펴보자.
1. 일자리와 이민
트럼프 자신은 오직 불법 이민에 반대할 뿐이라는 입장을 내놓았다. 또한 일자리와 관련하여, 트럼프는 중국을 신랄하게 비난하였다. “관세를 올려 우리의 일자리를 지켜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유명하다. 일자리 문제는 일반 유권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이슈이며, 다른 정치인들이 이 문제를 외면하거나 미온적인 정책을 내놓는 반면, 트럼프는 (일자리를 빼앗아가는 데에 일조하는) 중국을 ‘흡혈’, ‘강간’ 등의 거친 언어로 공격하였다. 이에 후련함을 느낀 유권자들에게 그가 구사한 언어의 품위 결여는 오히려 진정성의 증거로 여겨졌다.
2. 테러 방지
일부 이슬람 사원 폐쇄, 미국내 무슬림들의 의무적 등록과 데이터베이스화 주장 등, “IS 등의 테러리스트를 잡을 때는 그들의 가족을 공격해야 한다”라는 등의 과격한 주장은, 언론으로부터 비판을 많이 받았지만, 2015-2016년 세계 각지에서 연쇄적으로 이어진 테러의 영향으로 여론조사는 트럼프의 손을 들어주었다.
3. 금권정치 비난
트럼프는 “고액 기부자, 특수이익 관여자, 로비스트들이 국민을 완전히 통제하고 있다”며 “이들은 흡혈귀(bloodsuckers)”라고 비난하는 등 금권정치의 종언을 자신의 주요 이슈로 내세웠다. 이는 경쟁자들에 비해 비교우위를 누리면서 그들을 썩은 정치인으로 매도할 수 있는 이슈이기도 했다. 트럼프가 억만장자라는 사실이 약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겠지만, 오히려 부자이기 때문에 부유층의 기부에 의존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강점으로 내세운 것이다.
4. 월가 비난
트럼프는 빈부 양극화의 주범으로 간주된 월가를 집중 비판함으로써, 월가에 대해 비판적 견해를 갖는 민심(60% 이상)에 화답했다. 트럼프의 월가 비난은 부자 증세, 전 국민 건강보험지지 등의 정책으로까지 이어졌다.
5. 강한 미국
트럼프는 글로벌리즘보다 미국 우선의 아메리카니즘(Americanism: 미국주의)를 새로운 신조로 삼을 것을 공약했다. 특히 외교적인 부분에서 엄청난 투자를 쏟아부으면서도 특별한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등 세계 최강국으로서의 면모가 사라지고 있다고 개탄한 것이다. 또한 한국, 독일, 일본 등을 경찰처럼 방어해주고 있지만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사실 미국인의 ‘신 고립주의적’ 시각은 이미 만연해있는 상태였기 때문에 트럼프의 주장이 일정한 호응을 얻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6. 언론 비난
미국 언론은 약 2/3정도의 국민이 반감을 표할 정도로 불신의 대상이 된 지 오래다.
[su_quote]트럼프는 자신의 막말을 중계하게 해 홍보 효과를 누린 것은 물론이고 동시에 언론을 무시하고 경멸하면서, 명예훼손에 따른 배상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동시에 유권자들로부터 언론을 두려워하지 않고 할 말은 하는 용감한 정치인이라는 평가까지 받았다.(20쪽)[/su_quote]
‘트럼프 현상’과
미디어 혁명
트위터에 700만, 인스타그램에 100만 명이 넘는 팔로어를 거느린 트럼프는 온라인에 자신만의 뉴스룸을 구축했다. 트럼프는 소문난 SNS광이었는데, 하루에도 십수건의 게시물을 올리는데, 이는 사람들에게 보기 좋은 구경거리를 제공한 셈이었다. 분명히 이러한 행보는 기존의 선거 역사에서는 이례적인 일이며 여러 전문가들은 트럼프가 선거의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su_quote]CNN은 케네디가 ‘TV 대통령’이고 오바마가 ‘인터넷 대통령’이라면 트럼프가 ‘소셜미디어 대통령’으로 기록될 것이라 했고···(22쪽) [/su_quote]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 방식에서 힐러리는 트럼프에 비해 대중의 흐름을 잘 읽지 못했고, 백마디, 천마디 말보다 더 강한 사진 한 장으로 자신의 어필하고자 했던 트럼프는, 대중의 흐름을 잘 꿰뚫었던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소셜미디어는 트럼프가 누릴 수 있었던 특별한 기회였다. 대중의 정보 획득, 입소문 전파, 신문과 TV 등 전통 미디어가 모바일 SNS에 압도당하는 ‘미디어 혁명’이 트럼프의 대선 도전 시기에 성숙 단계 또는 최고조에 이르렀다. 이는 분명히 트럼프에게 좋은 타이밍이었다.
‘트럼프 현상’이
한국 사회에 주는 교훈
트럼프 현상은 한국 사회에 주는 핵심적인 교훈은 무엇일까? 바로 ‘엘리트층이 몰랐거나 외면했던 미국사회’처럼, ‘엘리트층이 모르거나 외면하고 있는 한국사회’에 대한 성찰일 것이다. 처음 트럼프를 두고 미국의 엘리트층이 그를 조롱거리로 치부했다는 것은, 40%에 육박하는 트럼프의 지지자들이 가지고 있었던 분노, 불안, 좌절을 몰랐거나 외면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그들은 그 점에 대해 성찰하기보다 트럼프를 비난하고 개탄하는 데에만 열을 올렸다.
한국에서 그러한 사태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하지 않기 위해서는,
[su_quote]엘리트층의 정확한 사회 인식을 가로막는 위선의 제도화에 대해 그 어떤 판단을 내리고 사회적 합의 과정을 거쳐 그 어떤 출구를 모색해야 하지 않을까? 우리는 어떤 지도자나 책임자가 입으로는 차별에 반대한다고 해놓고 실제로는 자신의 책임 하에 있는 조직이 엄청난 차별을 저지르는 것을 방관하는 기존 의식과 행태를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25쪽)[/su_quote]
저자는 이러한 현상이 최근 한국에도 비슷하게 일어나고 있다고 보고 있는데, 그렇다면 한국의 현실에도 시사하는 바가 많다고 할 수 있다.
*함께 읽으면 좋은 논문
「트럼프 현상으로 본 미국 고립주의의 본질과 재현 가능성 전망」
이선희·김중완·정한범, 2016,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8(1), 281-314.
「미국과 한국의 뉴미디어민주주의에 대한 비교연구 : 한국 선거에서의 인터넷·SNS 활용과 변천을 중심으로」
이처문, 2016, 『사회과학연구』32(2), 167-187.
최종원 리뷰어 zwpower@gmail.com
<저작권자 © 리뷰 아카이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