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98%90%ec%98%a4%ea%b0%80-%ec%a3%bd%ec%98%80%eb%8b%a4-001

 

 

[su_frame align=”leftnone”]DBpia Report, R은 DBpia의 논문이용 통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매월 한 차례 분석 기사를 게재합니다.
이번 10월은 10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한 달간 DBpia 논문 이용 순위 1위부터 1만위를 대상으로 분석하며,
모두 4부에 걸쳐 게재됩니다.

 
(1) DBpia 10월 이용통계 상위 1만편 논문 키워드 분석
(2) DBpia 10월 이용통계로 본 사상가, 문인, 영화감독
(3) DBpia 10월 이용통계로 본 인문학 트렌드
(4) DBpia 10월 이용통계 상위 100위 변동현황[/su_frame]

 

r마지막으로 가장 인기를 끈 논문들이라 할 수 있는 100위권 논문 그룹에서 9월과 10월의 차이를 짚어보려 한다. 우선 눈에 띄는 것은 상위권 100위까지 논문들의 변동사항이다. 그중에서도 9월에 1~50위를 차지한 50편이 10월 통계에서는 각각 어떤 위치를 점하고 있는지 자세히 살펴보았다. 아래  9월에 1~10위를 차지한 논문들 중 100위권 밖으로 밀려난 것은 단 2편뿐이다. 나머지 8편은 소폭 이동을 하며 꾸준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11~20위도 2편을 제외한 나머지는 남아 있었고, 그다음부터는 3편(21~30위), 6편(31~40위), 5편(41~50위)이 100위 밖으로 밀려나 변동폭이 커졌다. 지난달 1~50위 논문 중 이번 달에 100위권 밖으로 밀려난 논문은 총 18편으로 전체의 약 37% 수준이다. 이 같은 수치는 한 논문에 대한 관심 이용 층이 예상보다 길고 두텁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tyle-ybp-7

눈에 띄는 점은 공학·실용 분야 논문들의 등락폭이 인문사회 분야보다 월등이 높았다는 것이다. 9월에 6위를 기록한 「(…)전장관리정보체계 소프트웨어 시큐어 코딩룰(…)」은 245위로, 8위 「LVC-G COTS SW  개발 기대격차 분석」은 546위로, 12위 「호주 대학생들의 한식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연구」는 3107위, 40위 「동시공학적 접근법 및 응용 사례」는 1491위로 각각 떨어졌다. 등락폭이 가장 컸던 논문은 「성공적인 고객 경험 관리를 위한 서비스 경험 실사」로 41위에서 6,064위로 급락했다. 이는 공학이나 실용 분야 논문의 정보 사이클이 인문사회 분야보다 짧고, 집중적이라는 점을 말해준다. 아주 세부적인 주제일수록 이런 현상이 두드러졌다. 「무인기/드론의 이해와 동향」(35위->102위)이나 「3D 프린팅 기술과 건축적 활용」(36위->432위) 등 신기술·첨단기술 관련 논문들은 순위가 하락해도 소폭이었으며, 순위는 하락했지만 다운로드 횟수는 오히려 지난달보다 늘어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같은 공학 분야라도 타 분야와의 접목성이 높은 분야는 광범위한 이용자의 선택을 꾸준히 받는 것으로 보였다.

인문·사회 분야에서는 유일하게 1편이 10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계간 『창작과비평』에 실린 한강의 소설 「채식주의자」가 그것인데, 24위(168회)에서 368위(84회)로 대폭 떨어졌다. 이는 지난 5월 맨부커상 수상 이후 갑자기 이용자가 몰렸다가 점차적으로 빠져나가는 모습으로 해석될 수 있다.

1위부터 100위까지의 논문을 지난달 자료와 비교한 표다. 맨 왼쪽 순위에서 괄호 속은 9월의 순위라 비교해서 볼 수 있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최상위권 이용률(다운로도 횟수)가 100~200회 정도로 떨어졌다는 점이다. 반면 중상위권의 다운로드 횟수는 지난달보다 100회 가까이 늘어났다. 머리가 가벼워진 대신 허리가 두터워졌달까? 아무튼 전체적으로 볼 때 100위권 다운로드 횟수 총합은 9월보다 10월이 높다.

새롭게 9월엔 1만 위 바깥이었지만 10월에 100위권으로 급속히 진입한 논문들은 모두 18편이었다. 이중 70%가 넘는 13편이 공학·과학 분야다. 앞서 말했듯이 공학 분야 논문들은 단시간으로 집중적으로 소화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현장 설문조사를 통한 실사연구를 통한 정책 관련 연구들이 많이 포진돼 있는 것도 눈길을 끈다. 「브렉시트 현장 리포트와 이후의 영국」은 유일하게 사회과학 분야에 속하는데, 논문은 아니고 월간지 기사였다. 브렉시트 이후 영국 상황을 리포트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연구자들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su_accordion]
[su_spoiler title=”9월 이용통계 10,000위 밖에서 10월 이용통계 100위권으로 진입한 신규논문” style=”fancy”]
「[두뇌사용설명서] 단월드-브레인 공동기획」 2편(18위/44위)
「비혼 남녀의 콘돔사용에 관한 의사결정 과정에서 나타나는 가부장성」(32위)
「지게차용 추진축의 가속 수명 평가」(35위)
「조기 영어 교육이 유아의 이중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51위)
「공항서비스에 대한 인천국제공항 이용자의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만족에 관한 연구」(54위)
「SU-8 기반 나노 구조가 PC12 세포의 신경돌기 성장에 미치는 영향」(56위)
「폴리에틸렌 시편의 균열진전거동 시뮬레이션」(60위)
「한국영유아 보육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65위)
「유한요소기반 다중스케일 연성파손모사기법을 이용한 원주방향 균열이 존재하는 탄소강 실배관 예측 및 검증」(68위)
「고온 성형을 이용한 인코넬 718 샌드위치 코어 구조 성형」(75위)
「칼만 필터를 이용한 휠로더 버킷 적재물의 질량 추정 시스템」(78위)
「브렉시트 현장 리포트와 이후의 영국」(82위)
「포토리지스트 혼합액의 미세패턴내 표면 및 체적 변화율의 제어를 통한 마이크로렌즈 제작에 관한 연구」(84위)
「Experimental Investigations on the Temperature Characteristics of Loop Heat Pipe」(93위)
「배플이 설치된 잠수함 압축기용 오일 냉각기의 전열 성능에 관한 수치연구」(94위)
「마이크로 파일의 시공 사례 및 공법 개선 방안」(99위)
「강원랜드 리조트카지노의 강원지역에 대한 경제적 파급효과와 영향력 분석」(100위)[/su_spoiler]
[/su_accordion]

 

tyle-ybp-8

개별적 양상을 보자면 지난 9월의 가장 두드러진 흐름이었던 페미니즘(여혐)은 여전히 최상위권에 포진해 있지만 약간씩 순위가 하락했고, 사드 배치(핵실험)·브렉시트 등 국제정세 이슈, 인공지능·3D프린터·드론·사물인터넷 등 인기 과학주제도 등락폭이 미미했다. 1~100위 논문들의 전체적인 트렌드는 9월의 상황과 별반 달라진 것이 없다고 봐야 할 것이다. 범위를 1만위로 넓혀서 이들 논문 편수를 헤아려보면 이들 주제에 대하여 사회적 니즈가 점점 증폭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페미니즘(25편)·성역할(18편)·여혐(22편)·젠더(45편) 등 관련어로 논문들이 끊임없이 검색된다. 이는 ‘여성’이란 단어를 키워드로 했을 때 262편의 논문이 검색되는 반면, ‘남성’을 키워드로 했을 땐 28편에 그친다는 점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그리고 인공지능(로봇·딥러닝)을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상위 1만 위 논문 중 96편이나 검색된다. 사물인터넷(72편), 드론(25편), 3D프린터/프린팅(23편), 4차 산업혁명(19편) 등으로 1만 위에 이들 관련 논문이 235편이다. 연관 단어로 좀 더 확장 검색하면 400편까지 되지 않을까 예상된다.

다만 유독 눈에 띄는 한 편의 논문이 있다. 하나는 「제4차 산업혁명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으로 이 논문은 DBpia에 9월 20일 이후에 등록된 논문이다. 그런데 9월에 곧바로 4000위권을 차지하더니 10월에는 33위로 순위가 껑충 뛰었다. 4차 산업혁명은 다가오고 있는데 제대로 된 긴 호흡의 정책과 그에 따른 예산 책정과 실효성 있는 R&D는 이뤄지고 있지 않은 우리 사회의 불안증도 겹쳐 읽을 수 있었다.
 
[su_frame align=”leftnone”](1) DBpia 10월 이용통계 상위 1만편 논문 키워드 분석
(2) DBpia 10월 이용통계로 본 사상가, 문인, 영화감독
(3) DBpia 10월 이용통계로 본 인문학 트렌드
(4) DBpia 10월 이용통계 상위 100위 변동현황[/su_frame]
 
강성민 리뷰위원  paperface@naver.com

<저작권자 © 리뷰 아카이브,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porter, R

깊.게 판 진짜 지.식 @깊지라고 불러주세요.

RRESEARCH, REPORT, LIBRARY의 R입니다.

Leave a comment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