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a6%9d%eb%aa%85%ec%82%ac%ec%a7%84_%ea%b9%80%eb%b3%91%eb%85%84-%ec%88%98%ec%a0%95
DBpia 2017년 올해의논문 공학 분야 1위는 김병년 남서울실용전문학교 교수의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입니다. 김 교수는 스마트폰 중독을 제대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중독 유형 분석이 필요하다며 논문을 쓰게 된 배경을 밝혔습니다. 김병년 교수의 논문과 인터뷰를 만나보세요. 

DBpia ‘2017 올해의 논문상’ 공학 분야를 수상한 김병년 남서울실용전문학교 교수(사회복지학부, 당시 가톨릭대 연구원) 는 스마트폰에 중독된 청소년들을 연구해 눈길을 끈다.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의 예측요인을 주로 개인적 관점에서만 다룬 기존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기통제 및 우울과 같은 개인적 요인과 더불어 부모양육태도, 대인관계지지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특히 이러한 개인적, 환경적 예측요인들의 영향력이 스마트폰의 중독 분류군(고위험군 및 잠재적 위험군, 일반사용자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검증함으로써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함의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4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기통제력 및 우울은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개인적, 환경적 요인의 유의미한 효과는 스마트폰 중독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위험사용자군(고위험군 및 잠재적 위험군)의 경우에는 환경적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사용자군은 개인적 요인이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스마트폰 중독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개입에 있어서 그 실천적 방안이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괄적으로 적용되기 보다는 그들이 가진 중독 수준에 따라 차별화되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기존의 접근이 중독을 질병으로 보고 사용량을 통제하려는 ‘셧다운’형에 맞춰져 있었다면, 김병년 교수는 사람에 초점을 맞춘다. 자기통제력이나 조절 능력을 길러야 한다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SNS를 통해 사회성을 높이는 도구로 기능하지만, 중독 상태에 이르면 오히려 사회성이 떨어진다는 결과도 흥미롭다.

이제 한국 청소년의 90%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현상도 가장 먼저 야기된다. 아울러 이를 중독이라고 불러야 하는지도 논란이다. 2013년 발행된 이 논문이 주목을 받게 된 이유다. 김병년 교수는 “초, 중등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질적 예방, 치료를 제시하기 위해 유형을 분석 제시하는 노력에 집중하고 있다”고 포부를 밝혔다.

< 저작권자 © 한국대학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논문 바로 보기 >>

한국청소년연구 저널지 논문 보기 >>

디비피아 페이스북 >>

디비피아 트위터 >>

Reporter, R

깊.게 판 진짜 지.식 @깊지라고 불러주세요.

RRESEARCH, REPORT, LIBRARY의 R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