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정보 리터러시

강준만 교수, 대학도서관 통한 ‘논문읽기’ 제안

1%eb%a9%b4_%ea%b0%95%ec%a4%80%eb%a7%8c
COVER 논문의 대중화, 논문읽기 운동 주목

강준만 교수, 대학도서관 통한 ‘논문읽기’ 제안

온라인 접근성 좋은 지적콘텐츠로서 논문가치 재조명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강준만 교수가 올해 3월에 출간 된 본인의 저서 “소통의 무기”의 머리말에서 논문읽기를 강조했습니다. 본문 각 장에서 논제와 관련된 최근 논문들을 소개해 논문읽기를 적극 권유한 강 교수는 먼저 학술논문의 뛰어난 온라인 접근성에 주목합니다. “미디어 접근성에 있어 종이책은 ‘너무도 가까이 하기 어려운 당신’ … 전자책의 대중화 속도는 더딜뿐 … 전자책보다 접근성이 훨씬 뛰어난 게 있다. 바로 그게 논문이다.” 국내에서 발표되는 대부분의 학술논문은 온라인으로 이용 가능하기 때문에 책보다 접근성이 월등하다는 설명입니다.

강준만 교수는 대학 도서관이 논문읽기 운동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대학도서관을 이용하면 “몇번의 클릭만으로 학술논문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며 논문활용을 앞장서서 안내하고 있습니다. 강 교수는 또 쉽고 재미있는 논문이 많은 만큼 전공 학자만 본다는 선입견을 버릴 것을 주문했습니다. “논문이라고 하면 어려울 것이라고 지레 겁부터 먹기 십상이지만 … 의외로 비교적 쉽게 읽을 수 있는 재미있는 논문들도 많다.”

나아가 강준만 교수는 대중을 위한 논문읽기 운동이 학술 커뮤니케이션 선순환을 위한 좋은 자극이 될 것이라고 덧붙입니다. 그는 논문 독자가 일반인으로까지 확장되면 연구자의 논문주제도 좀더 풍부한 사회논의가 포괄되는 방향으로 확대될 것이라는 기대를 나타냅니다.

%ea%b0%95%ec%a4%80%eb%a7%8c-%ea%b5%90%ec%88%98%eb%8b%98900_1350
강준만 교수, 인물과 사상사 제공.

 

검색 좀 하시는 분들에게 소개합니다

0324_tip_web2_1

[su_box title=”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 style=”soft” box_color=”#f70000″ radius=”5″]’학술정보 검색’에 대한 가천대학교 최문정 사서선생님의 원고를 연재합니다. 학술정보 검색은 일반 검색과 어떻게 다른지, 검색하기 전에 숙지해야 할 정보는 무엇인지, 어떤 방법으로 검색을 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검색결과를 좀더 똑똑하게 활용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학술검색의 심화버전까지 총 5회에 결쳐 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을 다룹니다. 최문정 사서선생님은 가천대학교에서 대학생과 대학원생에게 학술정보 이용교육을 담당했으며, 연재되는 원고는 이용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서술되었습니다.

1탄: 일반검색은 구글링, 학술정보는 딥파잉! 바로가기>>
2탄: 학술정보를 검색하기 전에 이것만을 알아두세요! 바로가기>>
3탄: 무턱대고 키워드 타이핑은 그만! 바로가기>>
4탄: ‘검색결과 보기’가 끝이 아니다? 바로가기>>
5탄: 검색 좀 하시는 분들에게 소개합니다. 바로가기>>[/su_box]

logofinale
상세검색: 검색 좀 하시는 분이라면

‘상세검색’은 ‘논문명’, ‘간행물명’, ‘발행기관’, ‘저자’, ‘키워드명’, ‘목차+초록’, ‘본문’ 등 두 개 이상 항목에 검색어를 ‘AND’, ‘OR’, ‘AND NOT’으로 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제분류, 언어, 발행연도 등으로 검색 결과의 제한까지 가능한 기능입니다. 이는 연구자가 요구하는 조건에 적합한 소수 자료를 출력하고자 할 때 유용하며, 단순검색으로 출력된 결과물을 ‘결과 내 재검색’, ‘정렬’, ‘검색결과 좁혀보기’ 등의 방법으로 그 수를 축소하는 경우와 결과는 같습니다.

 

0324_tip_web-002

 

알림서비스: 원하는 자료가 없으시다고요?

‘알림 서비스’란 DBpia에 연구자가 원하는 항목의 자료가 업데이트되었거나 변동이 있으면 연구자에게 자동으로 알려주는 기능으로, 개인 회원으로 가입하면 알림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DBpia에서 알림 서비스는 연구자가 원하는 발행기관, 전자저널 권/호, 검색결과, 저자, 논문 이용 알림, 키워드별 논문, 주제별 신규 간행물, 개인 추천 알림 서비스 등이 있으며, 특히 논문을 작성하고자 하는 연구자에게는 검색결과 알림 서비스가 매우 유용합니다. 연구자가 입력한 검색어 또는 검색식에 해당하는 최신 자료가 DBpia에 등록될 때마다 회원가입 시 등록한 메일로 알려주는 서비스는 논문을 작성하는 동안에도 최신 논문을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매우 편리합니다.

 

0324_tip_web-003

 

 

[su_box title=”DBpia Insight, 논문·저자·저널의 영향력을 데이터로 나타냅니다.” style=”soft” box_color=”#000000″ radius=”5″]
DBpia는 근래에 ‘DBpia Insight’를 오픈하고 국내 학술 Database로서 최초로 논문, 저자, 저널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DBpia는 연구자에게 본인 논문의 영향력은 물론 선행 연구를 다양한 지표로 비교·분석하여 선별하는 방안을 제시하여 연구 논문 작성에 도움을 주었으며, 각종 도서관에 DBpia를 활용한 연구지원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등 궁극적으로 국내 연구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새로운 장을 마련하였습니다. 다만, ‘DBpia Insight’는 DBpia에서 제공하는 논문, 저자, 저널에 한정하여 DBpia 이용자들의 실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한다는 제한점이 있습니다.

 

0324_tip_web-004

 

논문의 이용/인용 정보를 확인하세요!

DBpia Insight’에서 논문명으로 검색하면 해당 논문의 이용/인용지표(DBpia 이용수, DBpia 논문 활용도, 이용기관별 이용 수, DBpia 피인용 수)와 관련 학술자료(논문의 메타정보, 인용정보, 그리고 이용자의 논문 이용 패턴을 활용한 연관 추천 논문 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연구자들에게는 DBpia 이용자들의 논문 이용 및 인용하는 추이를 기간별로 분석하고 연관 논문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연구 트렌드 분석에 상당히 유용합니다.

저자별 연구동향을 데이터로 확인하세요!

DBpia Insight’에서 저자명으로 검색하면 해당 저자의 저자명, 소속기관, 연구 분야, 논문 발행 기간, 이용수, 피인용 수 등의 항목이 출력됩니다. 이를 활용하면 동명이인의 저자가 많더라도 소속기관에 의하여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으므로 저자별 연구 동향 및 영향력 지수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저널의 영향력 지수를 확인하세요!

DBpia Insight’에서 저널명으로 검색하면 해당 저널의 저널명, 발행기관, DBpia 분류, 발행 기간, 이용수, Usage Factor, 피인용 수 항목이 출력되므로 저널의 영향력 지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활용하면 연구자가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저널 및 작성한 논문을 투고해야 하는 저널 등을 확인하는데 유용합니다. 특히 Usage Factor는 전자정보 이용통계 국제 표준인 COUNTER 기관의 COUNTER Code of Practice for Usage Factors 공식 기준에 근거한 저널의 이용지수로 저널에서 최근 2년간 발행된 논문들이 같은 기간 동안 이용된 수의 중앙값을 통해 산출합니다.[/su_box]

‘검색결과 보기’가 끝이 아니다?

0321_tip_web_4th-2_1

[su_box title=”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 style=”soft” box_color=”#f70000″ radius=”5″]’학술정보 검색’에 대한 가천대학교 최문정 사서선생님의 원고를 연재합니다. 학술정보 검색은 일반 검색과 어떻게 다른지, 검색하기 전에 숙지해야 할 정보는 무엇인지, 어떤 방법으로 검색을 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검색결과를 좀더 똑똑하게 활용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학술검색의 심화버전까지 총 5회에 결쳐 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을 다룹니다. 최문정 사서선생님은 가천대학교에서 대학생과 대학원생에게 학술정보 이용교육을 담당했으며, 연재되는 원고는 이용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서술되었습니다.

1탄: 일반검색은 구글링, 학술정보는 딥파잉! 바로가기>>
2탄: 학술정보를 검색하기 전에 이것만을 알아두세요! 바로가기>>
3탄: 무턱대고 키워드 타이핑은 그만! 바로가기>>
4탄: ‘검색결과 보기’가 끝이 아니다? 바로가기>>
5탄: 검색 좀 하시는 분들에게 소개합니다. 바로가기>>[/su_box]
logofinale
입력한 검색어로 추출된 결과물 중에서 실제 이용할 수 있는 자료들을 간추려서 선별하는 방법은 크게 ‘결과 내 재검색’, ‘정렬’, ‘검색결과 좁혀보기’가 있습니다. 이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면 두 가지 이상의 항목에 검색어를 입력하여 동시에 결과물을 추출하는 상세검색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결과 내 재검색: 원하는 결과로 가까이 더 가까이

‘결과 내 재검색’은 입력한 검색어로 추출한 자료 중에서 다시 입력하는 새로운 검색어가 포함된 자료들만 간추리는 방식입니다. 두 개의 검색어가 동시에 포함된 자료만 보고자 할 경우 또는 하나의 검색어로 출력된 자료가 많을 때 그 수를 축소하고자 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검색어 & 검색어’의 검색 결과와 같습니다. 예를 들어, 메인 검색창에 ‘대학도서관’을 입력하면 총 782개의 논문이 출력되며, 이 중에서 ‘대학생’이 포함된 자료를 보고자 할 경우에 ‘결과 내 재검색’ 창에 ‘대학생’을 입력하면 총 45개의 논문으로 자료의 수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상세 검색 기능에서 검색어를 ‘대학도서관 & 대학생’으로 입력하여 출력된 결과와 같습니다.

 

0321_tip_web_4th-002

 

정렬: 순서를 바꾸면 가치가 보입니다

‘정렬’은 출력된 결과물을 어떤 기준에 의하여 출력 순서를 변경하는 기능으로, DBpia는 ‘유사도순’, ‘발행일순’, ‘제목순’, ‘이용순’, ‘피인용순’ 등의 정렬 방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학술 Database 중에서 가장 많은 유형의 정렬 방식으로 DBpia에서 검색어를 입력하면 출력된 결과물은 ‘유사도순’ 방식으로 기본 설정되어 있으며, 연구자는 본인의 목적에 따라 결과물을 다양한 정렬 방식을 활용하여 최적의 자료를 선별할 수 있습니다. ‘유사도순’은 입력한 검색어에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자료 순으로 정렬되며 대개 입력한 검색어가 제목에 있는 경우에 가장 유사도가 높습니다. 그리고 ‘발행일순’은 자료가 발행된 일자 순으로 정렬되므로 최신 자료를 보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제목순’은 논문 제목의 가나다순으로, ‘이용순’은 이용이 많은 자료 순으로, ‘피인용순’은 피인용이 많이 이루어진 자료 순으로 정렬되는 방식입니다.

Database마다 제공하는 정렬 방식은 약간 다르지만 대부분 학술 Database는 ‘유사도순(정확도순)’과 ‘발행일순’의 정렬 방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는 연구자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왜냐하면, 연구자가 입력한 검색어와 유사도가 높으면서 최근에 발행된 자료는 반드시 검토해야 하는 범주에 속한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만, 최신 자료일수록 이용과 피인용 지수는 낮으므로 자료의 속성을 인지하고 정렬방식을 활용하면 효율적입니다.

 

0321_tip_web_4th-003

 

검색결과 좁혀보기: 특정 범주만을 뽑아보는 만능키

‘검색결과 좁혀보기’는 출력된 결과물을 특정 항목에 해당하는 자료만 간추리는 기능으로, DBpia는 ‘발행연도’, ‘주제분류’, ‘간행물명’, ‘자료유형’, ‘해외 등재정보’ 등의 항목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학도서관을 입력하여 출력된 총 782개의 자료 중에서 발행연도 2016년에 발행한 28개의 자료를 보려면 해당 연도를 클릭하면 됩니다.

 

0321_tip_web_4th-004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사서 최문정

<저작권자 © 최문정>

 by

저작권자를 밝히면 본 게시물을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턱대고 키워드 타이핑은 그만”

3tan2_1

[su_box title=”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 style=”soft” box_color=”#f70000″ radius=”5″]’학술정보 검색’에 대한 가천대학교 최문정 사서선생님의 원고를 연재합니다. 학술정보 검색은 일반 검색과 어떻게 다른지, 검색하기 전에 숙지해야 할 정보는 무엇인지, 어떤 방법으로 검색을 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검색결과를 좀더 똑똑하게 활용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학술검색의 심화버전까지 총 5회에 결쳐 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을 다룹니다. 최문정 사서선생님은 가천대학교에서 대학생과 대학원생에게 학술정보 이용교육을 담당했으며, 연재되는 원고는 이용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서술되었습니다.

1탄: 일반검색은 구글링, 학술정보는 딥파잉! 바로가기>>
2탄: 학술정보를 검색하기 전에 이것만을 알아두세요! 바로가기>>
3탄: 무턱대고 키워드 타이핑은 그만! 바로가기>>
4탄: ‘검색결과 보기’가 끝이 아니다? 바로가기>>
5탄: 검색 좀 하시는 분들에게 소개합니다. 바로가기>>[/su_box]
logofinale

방법1> 논문 검색의 목적을 먼저 생각해 보세요!

 

「oooo ooooo」 논문을 찾으려고 합니다”

어떤 특정 논문을 검색하고자 한다면 해당 논문 제목의 키워드 또는 저자명, 간행물명, 발행기관명으로 개별 검색할 수 있으며, 두 가지 이상의 항목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두 개의 검색어를 ‘AND’ 조합한 결과이므로 더욱 빨리 원하는 논문을 입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검색어 항목에 ‘OOOO’와 저자명 항목에 ‘OOO’를 동시에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03-02

 

선행연구 혹은 연구동향을 확인하고 싶습니다”

작성하고자 하는 논문의 주제 또는 제목이 정해진 경우에는 검색어를 선정하고 검색어의 동의어 및 상위 단계의 용어로 검색하여 연구자에게 가장 적합한 논문을 선별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그리고 작성하고자 하는 논문의 주제 또는 제목을 정하지 않고 연구 분야만 정해진 경우에는 해당 연구 분야에서 발행되는 간행물을 검색하여 해당 간행물의 수록된 논문으로 최근 연구 경향을 분석하면서 작성하고자 하는 논문의 주제를 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최신호부터 지난 호로 가면서 수록된 모든 논문을 확인하다 보면 최근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주제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자가 특별히 관심이 가는 주제어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03-03

 

 

방법2> 관심있는 분야, 간행물, 저자의 논문을 한번에 확인하세요!

 

DBpia 메인 화면에서 항목별 검색은 ‘주제분류’, ‘간행물’, ‘발행기관’, ‘저자’로 구분되어 있으며, 연구자의 목적에 따라 항목별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정치외교학 분야의 논문이 궁금합니다”

‘주제분류’ 항목은 DBpia 구독분류, DBpia 기본분류, 한국 십진 분류(KDC), 한국연구재단 분류로 구분되어 있으며, 각 주제 분야에 해당하는 간행물을 알파벳 순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03-04

 

『국제정치논총』에 실린 논문이 궁금합니다”

‘간행물’ 항목은 DBpia에서 제공하는 모든 자료가 전자저널, 전자책, 전자책시리즈, 웹 DB, 참고자료·사전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 전자저널을 클릭하면 각 학회에서 발행하는 간행물을 알파벳순으로 확인 가능합니다. 간행물의 서명으로 검색하고자 한다면 ‘전자저널 내 검색’ 또는 메인 검색창의 ‘간행물명’ 항목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 ‘문헌정보’ 또는 ‘도서관’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학회지를 검색하려면 검색창에 ‘문헌정보’ 또는 ‘도서관’을 입력하면 ‘한국문헌정보학회지’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가 검색됩니다.

 

03-05

 

 “‘한국심리학회’는 어떤 논문들을 발표하는지 궁금해요”

‘발행기관’ 항목은 DBpia에 자료를 제공하는 기관을 알파벳 순으로 정렬하였으며, 발행기관의 이름으로 검색하고자 한다면 ‘발행기관 검색’ 또는 메인 검색창의 ‘발행기관명’ 항목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03-06

“‘강준만 교수’의 최근 3년간 발표한 논문이 궁금합니다”

‘저자’ 항목은 DBpia에서 검색되는 논문의 저자명을 알파벳 순으로 정렬하였으며, 저자의 이름으로 검색하고자 한다면 ‘저자 검색’ 또는 메인 검색창의 ‘저자명’ 항목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됩니다.

 03-07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사서 최문정

<저작권자 © 최문정>

 by

저작권자를 밝히면 본 게시물을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술정보를 검색하기 전에 이것만을 알아두세요!

tip_web_0315-006

[su_box title=”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 style=”soft” box_color=”#f70000″ radius=”5″]’학술정보 검색’에 대한 가천대학교 최문정 사서선생님의 원고를 연재합니다. 학술정보 검색은 일반 검색과 어떻게 다른지, 검색하기 전에 숙지해야 할 정보는 무엇인지, 어떤 방법으로 검색을 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검색결과를 좀더 똑똑하게 활용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학술검색의 심화버전까지 총 5회에 결쳐 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을 다룹니다. 최문정 사서선생님은 가천대학교에서 대학생과 대학원생에게 학술정보 이용교육을 담당했으며, 연재되는 원고는 이용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서술되었습니다.

1탄: 일반검색은 구글링, 학술정보는 딥파잉! 바로가기>>
2탄: 학술정보를 검색하기 전에 이것만을 알아두세요! 바로가기>>
3탄: 무턱대고 키워드 타이핑은 그만! 바로가기>>
4탄: ‘검색결과 보기’가 끝이 아니다? 바로가기>>
5탄: 검색 좀 하시는 분들에게 소개합니다. 바로가기>>[/su_box]

logofinale학술정보의 특징을 감안하여 어떤 주제 관련 최근 논문을 검색하고자 한다면, 연구자가 원하는 검색어의 동의어는 물론 상위 단계의 단어들을 단계별로 나열해보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 헷갈리지 마세요! 내가 원하는 논문의 명칭을 명확히 알고 있고 해당논문 만을 검색할 경우에 동의어로 검색하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지만(1편 참고), 특정 주제를 다룬 논문을 전부 검색할 경우에는 동의어로 검색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나에게 필요한 정보는 연구자가 입력하는 수준의 검색어로 검색되는 논문의 내용은 물론 더욱 포괄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논문의 한 구절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메타인지(metacognition)’에 관한 논문을 검색하고자 한다면 우선 ‘메타인지’와 ‘메타인지’의 동의어인 ‘상위인지’, ‘초인지’, ‘metacognition’, ‘meta-cognition’ 등의 검색어로 추출된 논문을 검색하여 살펴보고 다음으로 메타인지의 상위 개념인 ‘인지(cognition)’ 관련 논문을 살펴보면 ‘인지’ 관련 논문 내용 중에서 ‘메타인지’ 관련 결정적인 한 구절 담고 있는 논문을 우연히 발견하게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좋은 선행 연구를 참고한다면 연구자가 하고자 하는 연구의 질을 높일 수 있게 됩니다.

 

tip_web_0315-007

 

DBpia 검색창은 이렇습니다

특정 항목에 상관없이 단순 키워드를 입력하여 많은 결과물을 추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면 되고, 특정 항목에 해당하는 논문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저자명’, ‘간행물명’, ‘발행기관명’ 검색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tip_web_0315-008

 

  • 검색어: 연구자가 입력하는 단어가 ‘저자’, ‘서명’, ‘목차’, ‘초록’, ‘연구자가 지정한 주제어’, ‘간행물명’, ‘발행기관명’ 등 항목에 포함된 논문을 모두 검색하고자 할 경우
  • 저자명: 특정 저자의 논문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
  • 간행물명: 특정 간행물에 실린 논문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
  • 발행기관명: 특정 기관에서 발행한 논문을 검색하고자 할 경우

 

DBpia의 독보적 검색기술, ‘본문포함’

 

 tip_web_0315-009

 

‘본문포함’은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 중 오직 DBpia에서만 제공하는 기능으로 연구자가 입력하는 검색어가 논문의 본문 내용에 포함된 결과물까지 추출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본문제외’ 하여 추출한 결과보다 많은 수의 논문을 볼 수 있으므로 더욱 많은 결과물을 브라우징하려는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논문을 포함하여 많은 결과물이 추출될 수 있으므로 일단 ‘본문제외’로 검색해 보고 이후 경우에 따라 ‘본문포함’ 검색을 진행하면 원하는 논문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사서 최문정

<저작권자 © 최문정>

 by

저작권자를 밝히면 본 게시물을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반검색은 구글링, 학술정보는 딥파잉!

tip_web_0315-002

[su_box title=”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 style=”soft” box_color=”#f70000″ radius=”5″]’학술정보 검색’에 대한 가천대학교 최문정 사서선생님의 원고를 연재합니다. 학술정보 검색은 일반 검색과 어떻게 다른지, 검색하기 전에 숙지해야 할 정보는 무엇인지, 어떤 방법으로 검색을 해야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 검색결과를 좀더 똑똑하게 활용하려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학술검색의 심화버전까지 총 5회에 결쳐 학술정보 검색의 모든 것을 다룹니다. 최문정 사서선생님은 가천대학교에서 대학생과 대학원생에게 학술정보 이용교육을 담당했으며, 연재되는 원고는 이용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서술되었습니다.

1탄: 일반검색은 구글링, 학술정보는 딥파잉! 바로가기>>
2탄: 학술정보를 검색하기 전에 이것만을 알아두세요! 바로가기>>
3탄: 무턱대고 키워드 타이핑은 그만! 바로가기>>
4탄: ‘검색결과 보기’가 끝이 아니다? 바로가기>>
5탄: 검색 좀 하시는 분들에게 소개합니다. 바로가기>>[/su_box]
 

logofinale오늘날 우리는 온라인으로 하나의 단어 또는 문장을 입력하여 무수한 정보를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보를 직접 가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시대에 살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의 정보 탐색 능력과는 상관없이 많은 자료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실제 나에게 적합한 정보를 선별하는 것이 더욱 어려운 경우가 빈번한 것이 사실입니다. 최근에는 학술정보를 검색 포털이나 검색 엔진에서 검색할 수 있으나 학술정보의 특징을 알고 전문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면 원하는 최적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습니다.

 

 

tip_web_0315-003

 

왜 ‘학술정보’는 전문DB에서 검색해야 하나

DBpia와 같은 전문 학술 데이터베이스는 각종 학술 기관과 계약을 체결하고 해당 기관에서 발행하는 근거와 출처가 명확한 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용자에게 검색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지속해서 최신 기능을 업데이트하는 등 최적의 Interface를 유지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만,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학술정보는 정보를 제공하는 학술 기관과의 계약 조건에 따라 자료 제공 연도의 제한이나 엠바고(Embargo), 즉 일정 기간 새로 나온 전자저널의 논문 등에 접근을 제한하는 기간 등의 문제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면, 검색 포털이나 검색 엔진에서 확인 가능한 학술정보는 정보를 생산하는 기관에서 직접 제공하는 것이 아니므로 전문 학술 데이터베이스보다 상대적으로 단편적이고 출처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학술정보를 검색하고자 한다면 전문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능숙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tip_web_0315-004

 

 학술정보의 특징: 메타정보가 명확

학술정보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학술정보는 저자, 제목, 출판사, 출판연도가 명확합니다. 둘째, 학술정보는 발행기관의 내부 규정에 따른 절차 등을 준수하여 발행된 자료이기 때문에 공식적으로 입증된 자료입니다. 따라서 학술정보는 온라인에서 무료로 얻을 수 있는 출처가 불확실한 정보에 비하여 질적으로 우수합니다. 셋째, 학술정보는 저작권의 보호를 받습니다. 그러므로 연구자가 학술정보를 인용할 경우에는 표절 등 연구윤리에 유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술정보는 ‘저자’, ‘서명’, ‘목차’, ‘초록’, ‘연구자가 지정한 주제어’ 및 ‘간행물명’, ‘발행기관명’으로 색인 된 단어로만 검색할 수 있습니다. 즉, 키워드 검색 시 연구자가 원하는 검색어가 앞에서 말한 7개 항목에 포함된 단어를 입력해야 해당 자료를 검색할 수 있으며, 동의어나 문장으로 원하는 논문을 찾을 가능성은 현저히 낮습니다. 예를 들어, ‘대학생의 SNS 사용 실태에 관한 논문’을 찾는 경우, ‘대학생’으로 검색하면 앞에서 말한 항목 중에서 ‘대학생’이라는 단어가 포함된 논문은 검색되지만 ‘학부생의 SNS 사용 실태에 관한 논문’은 검색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국내 학술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앞에서 말한 항목에 해당하는 키워드로만 검색할 수 있으나 DBpia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본문 내용의 단어로도 검색되는 ‘본문포함’ 기능을 선택옵션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tip_web_0315-005

 

가천대학교 중앙도서관 사서 최문정

<저작권자 © 최문정>

 by

저작권자를 밝히면 본 게시물을 자유롭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